먼저 피벗테이블을 적용하기를 원하는 데이터를 드래그합니다. Ctrl+ A를 눌러 전체 자료를 드래그할 수도 있습니다. 그 후 상단의 옵션에서 [삽입]을 눌러줍니다.
그리고 상단 맨 왼쪽에 있는 [피벗테이블]을 클릭합니다.
표/범위를 이미 지정해 놓았고 피벗테이블 보고서를 새 워크시트에 넣는다고 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대로 확인을 누릅니다.
다음과 같이 피벗테이블을 위한 새로운 워크시트가 나타납니다. 오른쪽의 네모 박스 란에 체크하여 원하는 영역을 표에 나타낼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 5가지 영역에 모두 체크하였더니 왼쪽 워크시트에 일자, 품목, 수량, 단가, 총 금액이 나타난 표가 나왔습니다.
다음과 같이 원하는 카테고리만 표에 배치시킬 수 있습니다. 피벗 테이블에서는 같은 카테고리라도 행에 배치하느냐 열에 배치하느냐에 따라서 표의 모양이 달라집니다.
위의 ①번의 카테고리를 드래그하여 ②번의 원하는 영역에 끌어 놓으면 됩니다. 예시에서는 수량, 품목, 총 금액만 체크하여 표를 만들었으며 행에 품목, 열에 수량, 값에 총 금액을 넣어서 만들었습니다.
1. 행과 열 수정
완성된 피벗테이블에서 행과 열의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. 행 레이블에서 아래 메뉴 보기 아이콘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뜹니다. ①번에서는 행과 열의 텍스트를 순서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. ②번 빨강 박스에서는 텍스트가 표에 나타나게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.
2. 피벗테이블의 값 설정
오른쪽의 피벗테이블 필드 란에서 [값]- [합계: 총 금액]에서 아래 메뉴 보기 아이콘을 누릅니다.
[값 필드 설정]을 클릭하면 이전과 같이 기본적으로 합계로 산출되지만 평균, 개수, 최댓값 등으로 산출도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하면 수정합니다.
3. 추천 피벗 테이블 표
위와 같이 설정하고 싶은 카테고리를 정해서 피벗 테이블을 생성할 수도 있지만 추천 피벗 테이블 표를 통해 형태를 볼 수도 있습니다. 원본 데이터 표에서 처음과 같이 드래그를 한 후 추천 피벗 테이블 표를 클릭하면 이렇게 여러 종류의 추천 피벗테이블 표를 볼 수 있습니다.
엑셀에서 효율적으로 원본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엑셀 피벗테이블 만드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. 엑셀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많은데 그중에 피벗테이블은 어렵지 않게 많은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툴입니다.
저는 사실 엑셀만큼 업무 효율을 높여주는 툴은 없다고 생각 하는 편이라 하나씩 기능을 익혀두시면 업무에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됩니다.
업무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빅카인즈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도 참고하세요. (아래 링크 ^^)